본문 바로가기

영화/영화이론

스크립트 양식 쓰는 법! 양식에 기재해야 하는 것들 (PDF 파일 첨부)

저번 글에 올렸던 스크립터 팁은 실무에 가까운 것 같아 애초부터 처음인 사람들은 그래서 어떻게 써라고? 에 대한 답변으로 A to Z까지 같이 써보자 스크립트 양식은 저번에 올렸던 PDF 양식으로 써보겠다. 못본 사람을 위해 다시 한번더 올린다.

스크립트 용지.pdf
0.03MB
스크립트 양식

1. 먼저 제목, 감독, 스크립트 이름을 적고 날짜, 촬영 시작시간, 장소를 기입한다.

이때 팁! 스크립터 이름 옆에 자신의 번호를 적어두자 나중에 감독 혹은 편집자 후반작업자가 스크립터 양식을 보고 모르는 것이 있으면 연락을 할 수 있도록!!!

2. 씬넘버, 컷 넘버 날씨, 장소, 카메라 세팅

여기가 처음엔 무슨말이지? 싶을 텐데 지금 찍는 씬 넘버 S#, 컷 넘버 C# 쓰고 특이사항은 있으면 쓰고 없으면 공백
날씨는 맑음 또는 흐림 등등..
이제 옆에 MDEN, SOL 를 설명하겠다.

M - Morning
D - Day
E - Evening
N - Night

대충 아침 점심 저녁 밤 이라고 생각하면서 체크를 하면 될 것 같다.

S - Set - 촬영을 위해 인위적으로 만든 세트장
O - Open Set - 빌린 실내공간 (사전 정의랑 다른데 왜 빌린 실내공간을 뜻하는지 아는 사람 설명 부탁드립니다..)
L - Location -외부 공간 천장이 없는곳이라 생각하면 편할 듯

이제 그 밑에 추가촬영이 있을 수도 있는 환경에서만 기입하셔라 (없다면 기입안해도 됨)
Film - 필름으로 촬영할 일이 있을까..? 할리우드 가서 쓸 것 같지만 사용하는 필름과 규격을 쓰면 된다.
Lens - 카메라 렌즈를 변경할 때 잘 기입해 두자 12mm, 50mm, 35mm.. etc
Filter - 카메라 앞에 필터를 씌울 때 ex) 영화 <러브레터> 눈밭 씬 - 포그 필터
Exp - exposure 노출값 대체로 조리개 값을 적더라
Roll - 카메라를 바꾸거나 카메라 데이터를 바꿀 때마다 A 롤 B롤 혹은 1 롤 2 롤 이렇게..? 내가 쓰기 전에 촬영보조 또는 슬레이터 치는 분이 말씀해 주실거다.

여기까지만 해도 스크립터 안 하고 싶을 것인데 조금만 더 참자 아직 반도 안 왔다.

이제 연결과 대사, 카메라 위치를 보자

연결은 말 그대로 연결되는 모든 것을 보면 된다. 시계의 시침, 분침, 콘센트가 꽂혀있는지, 가방을 어느 손으로 들었는지, 반찬을 뭐부터 먹었는지, 밥을 먹고 대사를 했는지 , 밥 먹기 전 대사를 했는지
연결칸과 지문과 대사 칸을 잘 응용해서 쓰면 편할 것이다.
카메라 위치는 조감도 형식으로 그려주면 좋다 인물을 동그라미로 표현하고 , 호에 걸친 v자가 카메라다. 카메라가 고정인지 트래킹을 하는지 패닝을 하는지 (이말은 즉슨 카메라 무빙과 카메라 앵글에 대해 알아야 한다는 것)
혹시 나는 카메라 구도 몰라요 하는 사람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배워 가자 간단하고 쉽게 설명해줘서 볼만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KvkvGFK0c88

https://www.youtube.com/watch?v=6PvPFdrk6Cg

사운드는 동시녹음인지, M.O.S (mute of sound) 사운드 없이 촬영했는지

3. 마지막 테이크에 따른 OK, keep, NG 표기

감독이 "컷! 오케이" 이 소리는 티비나 다른 매체를 통해 많이 들어 봤을 것이다. 컷 하고 감독이 하는 말을 받아 쓰면 된다.
컷! 아 근데 대사가 좀... -> 대사 어색 이런 식으로
혹은 촬영적인 문제 붐 마이크가 들어왔다. 조명이 반사된다. C스탠드 다리가 보인다 등등...

옆에 time 은 기록해두면 편집 때 편하다.

그리고 slate칸 간혹 가다 슬레이트를 마지막에 칠 때가 있다. 배우님 감정선을 유지하기 위해 또는 슬레이트를 치고 빠지기 어려운 경우 그렇게 하는데 end slate / tail slate라고 부른다.

이렇게만 쓸 줄 알아도 어디 가서 혼나지 않을 것이다. 아자아자 화이팅
여러분들의 슬레이트를 위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군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