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작과정/지구탕

[단편]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제작 과정5. Production 촬영

세트장이 완성되고, 가 촬영을 통해 몇 프레임으로 찍을지, 해상도 설정,  팀원들과 일정을 잡아 촬영에 들어갑니다. 토, 일 주말 동안 영화의 전당 강의실에서 진행되었습니다.

강의실 한켠에서 열심히 한지로 캐릭터, 소품들을 제작 중인 미술팀 

새가 필요해요! 검정새 사이즈는 2cm?라고 말을 하면 바로 뚝딱뚝딱 만들어 주시더라고요... 금손

미술팀이 소품을 만드는 동안 먼저 완성된 씬부터 촬영에 들어갑니다. 시간단축을 위해!!

피디님과 조연출님은 물고기를 조금씩 움직여가며 '손연기'를 펼쳤습니다. 

촬감님과 저는 카메라와 노트북을 연동하여 4K로 찍고 스톱모션 어플을 통해 한 번씩 점검을 해봅니다.  스톱모션 어플은 <stop motion studio pro2>를 사용했습니다. PC버전 유료 어플 앱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한지로 만든 바다. 바다 느낌이 날까? 라는 생각도 많이 했었는데 카메라에 담긴 모습을 보니 괜히 고민을 했던 것 같습니다. 

한 장 한 장씩 찍으니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 같아 2회 차부터는 동영상을 찍어 동영상에서 사진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동영상 사진 추출방법은 포스트 프로덕션 파트에서 다루겠습니다. 

 

 

욕조씬의 북극곰 부분 발췌 영상 

첫 애니메이션이션 촬영 후 나만의 팁과 생각

 

Tip 한컷 한컷 찍는방법- 스톱모션 느낌이 확실히 살고 시간은 걸리지만 움직임이 '스톱모션'이다!라는 느낌이 듦

      영상으로 찍어 추출하는 방법- 시간단축에 좋음 움직임이 '영상이 끊기는 느낌'이다.. 빠른 움직임을 찍을 땐 심지어 흔들린 사진을 써야 할 때도 있기 때문에 영상으로 찍을 땐 최대한 천천히 움직이길 바란다. 

전문 카메라가 있으면 이렇게 렌즈를 통해 z축이 깊어지면서 깊이감이 살아난다. BUT 전 그냥 폰으로 찍을래요!라고 한다면

어플을 통해 바로 찍고 바로 확인할 수 있기에 더욱 빠른 작업이 가능하다.

 

주의점 1. 카메라는 고정! 세트장도 고정! 조금이라도 움직인다면 편집 때 힘들다!!! 

2. 조명 - 플리커 현상( 같은 상태의 화면이 밝기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여 화면이 미세하게 떨리는 현상)을 확인하자!!

필자는 플리커 현상을 편집 때 알았다!!! 후회한다.  미리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찍어보고 규칙적인 줄이 나타난다면 조명을 바꾸자!!

인터넷에 플리커 현상 확인방법이라고 찾아보면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3. 생각보다 쉽지 않다.. 블로그에 뚝딱뚝딱해서 올린 것 같지만 아니다... 찍어볼 때까지 확신이 안 서는 작업이었다. 

 

필자는 앞으로 애니메이션보다는 영화 제작에  몰두할 생각이다^^ 시나리오를 쓰면서 북극곰 섭외 어떻게 하지?로 쏘아 올린 작은 공이 이렇게 커지게 될 줄은 몰랐으니...

첫 애니메이션 작업이었지만 질문이 있으시다면 최대한 답변해드리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